1. 교수소개
이름 | 전공 | 비고 |
---|---|---|
김수기 | 사료생물공학 | sookikim@konkuk.ac.kr |
박근규 | 반추영양학 | kkpark@konkuk.ac.kr |
조재순 | 동물영양생명공학 | chojs70@konkuk.ac.kr |
이홍구 | 동물영양생리학, 대사내분비학, 단백체학 | hglee66@konkuk.ac.kr |
김법균 | 양돈영양학 | beobgyun@naver.com |
이경우 | 가금영양학 | kyungwoolee@konkuk.ac.kr |
2. 학과소개
- 학과내규
- 석사과정은 총 24학점 중 자과과목을 18학점 이상 이수하여야 하며 동일계열의 타학과 관련과목 수강 시 지도교수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 박사과정은 총 36학점 중 자과과목을 27학점 이상 이수하여야 하며 동일계열의 타학과 관련과목 수강 시 지도교수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 비동일계 석사과정 입학자는 12학점 이상의 전공학점을 추가로 취득하여야 한다.
- 종합시험
- 석사과정 : 전공영역 전체의 전문적 지식과 연구방법에 관한 능력을 출제하며 본인이 취득한 전공 교과목 중 3과목을 시험한다.
- 박사과정 : 전공영역 전체의 전문적 지식과 연구방법에 관한 능력을 출제하며 본인이 취득한 전공 교과목 중 4과목을 시험한다.
3. 실험실
- 사료생물공학 실험실 – 김수기 교수님
- 본 연구실은 미생물에 있어서 유용 유전자를 조작하여 산업적으로 응용하고자 한다. 천연으로부터 유용자원을 발굴하고 이를 경제적으로 미생물에서 대량생산하고자 한다. 본 실험실에서 연구를 하면 분자생물학, 미생물유전학, 생물공학, 그리고 생화학 등 다방면으로 경험할 수 있다.
- 반추영양생리학 실험실 – 박근규 교수님
- 반추영양생리학 실험실은 반추동물이 생명현상을 유지하고 생산 활동을 하기 위한 생리작용, 즉 영양소의 섭취, 소화, 흡수 및 대사 작용의 전반과 이러한 요인들이 가축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다. 반추가축의 영양소 요구량 평가 및 설정, 사료원료의 가치 평가, 사양계획 수립 및 실행, 사료배합비 작성 등을 연구하고 이를 통해 반추가축의 사양표준과 부산물의 사료로서의 이용과 같은 사양기술을 개발한다
- 생리학 실험실 – 조재순 교수님
- Human과 mouse, rat, chicken등과 같은 동물체내에 존재하여 광범위한 생리학적 사건들, cellular stress response, vesicle trafficking, homeostasis, transcription, cell cycle, DNA recombination 등을 매개하는 세포내 중요 신호전달(signal transduction) 체계를 구성하는 “Inositol Phosphate Signaling”분야의 생리 생화학적 특성 규명에 관하여 연구한다. 또한 chicken내에 존재하며 단위가축의 항영양인자(anti-nutritional factor) 및 인오염(phosphate pollution)의 주된 물질로 작용하는 피틴태인(phytic acid:InsP6)을 가수분해하는 효소인 “MINPP(multiple inositol polyphosphate phosphatase)”의 생리생화학적 특성규명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 한편 동물사료영양에 있어 영양소의 효율적 이용을 촉진하는 신규 효소제의 개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
- 동물영양생리 및 단백체 실험실 – 이홍구 교수님
- 동물 영양생리분야에 최신 생명공학기술의 접목을 통한 축산발전에 기여하며, 관련학문 및 산업발전을 견인할 수 있는 인재양성 및 실용화 가능한 기술 개발에 주력한다.
- 양돈영양학 실험실 – 김법균 교수님
- 돼지의 소화 생리 및 양돈사료 원료의 영양평가의 관련된 연구를 수행한다. 다양한 원료사료에 대한 돼지에서의 소화율 및 영양소 이용률을 측정하여 양돈 산업에서 이용 가능한 사료 및 성장 모델을 개발하여 기능성 사료 및 첨가제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여 돼지의 성장개선, 사료효율개선 및 환경오염 저감에 기여한다. 주요연구 목표는 양돈용 원료사료 및 사료첨가제의 가치평가, 원료사료의 가치 예측 모델 개발, 동물영양학 실험방법 향상 및 개발이다.
- 가금학 실험실 - 이경우 교수님
- 본 실험실은 양계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 식량안보, 항생제 사용금지 등 새로운 환경변화를 이해함과 동시에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하여 지속 가능한 양계산업의 정착과 육성, 발달에 필요한 기술개발에 주력하고 있다.